AHYONG LEE
  • Home
  • Portfolio
  • About
    • Biography
    • Client
    • History
  • Contact

Broken Pieces II 2016
3 sets of 2-channel video Installation / 6 CRT monitors with built-in speakers, a petrol generator and wooden boxes / film duration varies, continous loop

Installtaion View

 Playground Triptych: Monkey Bars, Tag, Hide-and-Seek

놀이터에서의 단편 서사 셋 (철봉, 술래잡기, 숨바꼭질)

presented @ Ravenscroft Park, Hoxton, U.K.
as part of the off-site exhibition, < 0,1,2,3 >

/longing for lost images
Have you ever found yourself recalling a memory or emotion simply by being in a certain place?We often project our faded mental film onto the spaces we encounter, treating them like screens onto which our recollections are cast. But can these memories, played back over the almost unchanged backdrop of a place, ever remain intact?
Memory blurs, distorts, and sometimes disappears with time—leaving behind only fragments. Place, by contrast, persists as an objective fact, quietly present.Between memory and place lies a gap filled with a sense of solitude, melancholy, and nostalgia.
We may find ourselves alone in a familiar place from our past, chasing after scattered fragments of memory,longing for images we can no longer fully retrieve.
I too have stood in such spaces—sometimes smiling at a playful memory,sometimes overwhelmed by the absence of someone who once shared it. Unable to clearly restore a fading image, I linger in the past. Yet perhaps there’s something quietly beautiful in possessing that one imperfect, irreproducible image in my mind.
This video installation, dispersed in fragments throughout a playground,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ity and subjectivity—between place and memory. The playground is a site many have encountered, whether as a child, just days ago, or today.
As an adult returning to the playground, I recall my younger self at play. That recollection has since become yet another layer of memory,now stored as a fragment in my mind.
The figures in the video reenact simple games—ones you, too, may have once played in a space like this. Here, I invite you to piece together your own scattered memories,one image at a time.
​
(Part of the off-site group show “0,1,2,3”; presented as “1 is Soliloque”)
/longing for lost images
어떤 장소를 마주했을 때, 그 공간과 얽힌 기억이나 감정이 자연스럽게 떠오른 적이 있나요? 우리는 종종 장소를 스크린 삼아, 머릿속 빛바랜 필름을 재생하곤 합니다. 오랜 시간이 흘러도 별로 달라지지 않은 장소 위에 투사되는 기억은 과연 온전할까요?
기억은 시간 속에서 흐려지고, 변형되고, 때로는 사라지며, 단편으로 남습니다.반면 장소는 언제나 그 자리에, 객관적인 사실로 존재합니다.이 두 사이의 간극엔 쓸쓸함, 그리움, 향수 같은 감정이 맴돕니다.
우리는 언젠가의 기억 속 장소에 홀로 서서, 공허 속을 헤매는 기억의 조각들을 더듬고, 잃어버린 이미지를 애타게 그리워할지도 모릅니다.
나 역시 어떤 장소에 머무를 때, 장난처럼 웃게 되는 순간도 있었고, 함께했던 누군가의 부재에 아릿해질 때도 있었습니다. 희미해진 장면을 온전히 되살릴 수 없다는 사실에 마음이 붙들려 오랜 시간 과거에 머물러 있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완전히 복원할 수 없는 그 이미지가 오직 나만의 것으로 남아 있다는 사실은, 때론 가장 아름다운 소유처럼 느껴집니다.
이번 작업은 그런 생각에서 출발했습니다. 놀이터라는 익숙한 장소에 조각조각 흩어져 설치된 영상은,‘장소’라는 객관성과 ‘기억’이라는 주관성 사이의 관계를 다룹니다.
놀이터는 누구나 한 번쯤 지나친 적 있는 공간입니다. 성인이 되어 다시 찾은 놀이터에서 나는 과거의 나를 떠올리고,그 모습은 또 하나의 기억이 되어 머릿속 파편으로 남습니다.
작품 속 인물들은 놀이터의 공간마다누구나 한 번쯤 해보았을 법한 놀이들을 이어갑니다. 당신도 이곳에서, 흩어진 기억의 조각들을 맞추어 보길 바랍니다.
​
(이 작업은 0,1,2,3이라는 오프사이트 그룹전시의 일부로, 네 개의 장소특정적 작업 중 ‘1’을 담당했다. 해당 작품은 1 is Soliloque라는 부제 아래 선보였다.)